728x90
📢 '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' 책을 공부하고 복습하기 위해 작성했습니다.
문제
맵의 각 칸은 (A, B)
로 나타낼 수 있고,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,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.
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, 바다로 되어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.
캐릭터의 움직임은 다음 매뉴얼을 따른다.
1.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(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)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.
2-1.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왼쪽으로 한 칸을 전진한다.
2-2. 왼쪽 방향에 가보지 않은 칸이 없다면, 왼쪽 방향으로 회전만 수행하고 1단계로 돌아간다.
3. 네 방향 모두 이미 가본 칸이거나 바다로 되어있는 칸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뒤로 가고 1단계로 돌아간다.
단, 이 때 뒤쪽 방향이 바다인 칸이라 뒤로 갈 수 없는 경우에는 움직임을 멈춘다.
매뉴얼에 따라 캐릭터를 이동시킨 뒤,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하라.
입력 조건
- 첫째 줄에 맵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을 공백으로 구분하여 입력한다. (3 <= N, M <= 50)
- 둘째 줄에 게임 캐릭터가 있는 칸의 좌표 (A, B)와 바라보는 방향 d가 각각 서로 공백으로 구분하여 주어진다.
- 방향 d의 값: 0(북쪽), 1(동쪽), 2(남쪽), 3(서쪽)
- 셋째 줄부터 맵이 육지인지 바다인지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.
- 맵의 상태: 0(육지), 1(바다)
- 처음에 게임 캐릭터가 위치한 칸의 상태는 항상 육지이다.
출력 조건
- 첫째 줄에 이동을 마친 후 캐릭터가 방문한 칸의 수를 출력한다.
입력 예시
4 4
1 1 0
1 1 1 1
1 0 0 1
1 1 0 1
1 1 1 1
출력 예시3
나의 풀이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A, B, d = map(int, input().split())
data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
visited = list([0] * M for _ in range(N))
visited[A][B] = 1
cnt = 1
while 1:
# 네 방향
for i in range(4):
# 왼쪽 방향: 북 동 남 서 -> 왼, 아래, 오, 위
fst = [(0, -1), (1, 0), (0, 1), (-1, 0)]
dx, dy = fst[d]
nx, ny = A + dx, B + dy
# nx, ny는 맵 안
if nx < 0 or nx >= N or ny < 0 or ny >= M:
continue
# 가보지 않았고, 육지
if visited[nx][ny] == 0 and data[nx][ny] == 0:
A, B, d = nx, ny, d
visited[nx][ny] = 1
cnt += 1
break
else:
d = (d+1) % 4
else:
# 뒤로 한 칸: 북, 동, 남, 서 -> 아래, 왼, 위, 오
back = [(-1, 0), (0, -1), (1, 0), (0, +1)]
bx, by = back[d]
nx, ny = A + bx, B + by
if nx < 0 or nx >= N or ny < 0 or ny >= M or data[nx][ny] == 1:
break
A, B = nx, ny
print(cnt)
문제 해설
전형적인 시뮬레이션 문제이다.
별도의 알고리즘이 필요하다기보다는 요구 사항을 오류 없이 구현만 할 수 있다면 풀 수 있다.
방향을 설정해서 이동하는 문제 유형에서는 dx, dy
라는 별도의 리스트를 만들어 방향을 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.
728x90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이코테] 04. DFS / BFS (1) | 2024.01.02 |
---|---|
[이코테] 04. DFS / BFS - 자료구조 기초 (0) | 2024.01.02 |
[이코테] 03-1. 구현 - 왕실의 나이트 (1) | 2023.12.17 |
[이코테] 03. 구현(Implementation) (1) | 2023.12.16 |